1893년 이후 사망을 코드화하기 위한 국제분류체계가 있어왔다. 2차 세계대전 이후 UN(United Nations)이 창설되고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가 설립되면서, 질병·상해 및 사망원인에 대한 국제질병분류체계 (ICD: 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 Injuries and Causes of Death)의 6차 개정판을 1948년 출판하면서, 사망자료뿐 아니라 질병자료까지 코드화하고 표를 작성하는데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최초로 종양의 분류 시 해부학적 위치와 행태를 고려하게 되었다.
종양의 형태학을 위한 첫 코드 지침서는 MOTNAC(Manual of tumor nomenclature and coding)으로, 1951년 미국 암학회(ACS: American Cancer Society)가 출판하였으며, 이는 형태학을 위한 2자리 코드와 신생물의 행태를 알리는 3번째 자리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 코드가 1956년 WHO가 제안한 종양의 형태학(morphology)을 위한 통계적 코드의 기초가 되었다.
1960년대에 미국병리학자협회(CAP: 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는 모든 병리적 개체를 위한 분류를 개발하기로 결정하였다. 미국암학회(ACS)의 도움으로 미국병리학자협회는 병리학을 위한 체계적인 명명법인 SNOP(Systematized nomenclature of pathology)을 출판하였다. SNOP은 신생물에 대한 형태학적 코드와 매우 상세한 해부학적 코드로 되어 있다. ACS는 고유의 해부학적 부위 코드와 함께 SNOP의 신생물 형태학편을 사용하여 출판할 수 있도록 협약하였다. 암등록에서 해부학적 부위(topography)를 위해 ICD의 악성종양편을 사용해 왔기 때문에 ACS는 ICD-8의 악성종양의 해부학적 부위를 근거로 하였다. 1968년에는 MOTNAC의 새로운 판이 발간되어 널리 사용되었다.
1968년 WHO는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에게 ICD-9의 종양편의 내용과 구조를 검토하여 WHO의 암분과와 여러 국가들과 협의하여 권고안을 내도록 하였다. 전세계의 많은 자문가들이 ICD-9의 종양편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이들은 종양의 형태학(morphology)와 조직학(histology)의 코드화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형태학(조직학)편을 위한 기초로서 MOTNAC 1968년 판을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MOTNAC의 형태학편은 CAP이 1965년 출판한 SNOP의 신생물편에 근거를 두고 있었으며, 여러 국가의 언어로 번역되어 사용되었다.
종양학을 위한 국제질병분류 체계는 더 자세한 조직학적 분류를 요구하는 종양학 분야의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MOTNAC을 계승하면서 개발하기를 권고하였고, 이러한 제안에 따라 1971년 WHO의 질병분류 연구모임에서는 MOTNAC 1968년 판이 가장 적절하다는 판단을 하였다. 1976년 WHO는 ICD-O(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for Oncology)의 첫판을 출간하였다. ICD-O는 ICD-9의 악성종양에 기반을 둔 해부학적 부위(tophology)편과 MOTNAC 행태학에 한 자리 확장자를 가진 형태학(morphology)편으로 구성되었다. CAP은 ICD-O의 행태학편을 채택하여, SNOMED(Systematized Nomenclature of Medicine)라 불리는 SNOP의 개정판을 만들었다. SNOMED의 해부학적 부위(topography)는 ICD-O의 해부학적 부위(topography)와 차이가 있다. 비종양성 유사종양 병변(tumor like lesion)과 악성전구질환(premalignant condition)에 관한 SNOMED 행태학적 용어 중 몇몇은, 진정한 신생물과 구분할 수 있도록 ICD-O에도 수록되어 있다.